전체 글205 자기 성장과 효율적인 학습을 하는 방법? 서론 앞서 작성한 왜 성장해야하나, 왜 학습해야 하나의 연장선으로 "성장과 학습하는 방법"의 강의에 대한 후기와 내용 정리를 해보려합니다. 이전 글 다시보기 우리는 왜 성장해야하나? 우리는 왜 학습해야하나? 내용 롤모델을 만들자 주변에서 내가 되고싶은 개발자를 찾아보자. 물론 주변에 없다면 인터넷 강의, TV에 나오는 누군가가 될 수 있다. 롤모델을 삼는다는 것은 내가 어떠한 일을 시작하는데 있어 욕심과 열정을 불어넣어줄 수 있는 좋은 행동이다. 롤모델인 그 또는 그녀가 왜 잘하는지, 어떻게 잘하게 되었는지를 관찰하고 분석하며 일단 따라해보자. 따라하다보면 얻어가는 것이 많을 수 있다. 내가 어떻게하면 롤모델처럼 될 수 있을지 생각하고 노력해야하며, 이것은 단기간의 노력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닌 정말 긴 .. Self-Development/Lecture Review 2022. 5. 4. [Spring Boot] MyBatis 카멜케이스 변환 방법 (Snake -> Camel Case) 서론 보통 DB 컬럼을 생성할 때 우리는 스네이크케이스를 사용하여 만든다. 예를들어 사용자 이름을 만든다고하면 user_nm 이런식으로 _가 붙여져있는 것을 스네이크케이스라고 한다. 근데 클래스에서 생성하는 변수명은 보통 카멜케이스이다. 예로 userNm 이런식으로 새로운 단어가 합쳐지는 부분을 대문자로 사용하는 것을 카멜케이스라고 한다. 그럼 아래의 예시에서 보면 알겠지만 mybatis에서 쿼리를 돌릴 때의 명과 vo의 명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mybatis 쿼리에서 alias를 사용하여 vo 변수명과 맞춰주어도 되지만 이것은 컬럼 하나씩 다 해줘야 되기때문에 매우 비효율적이다. 그렇다면 이제 간단한 변환방법을 알아보자. 변환 전 상황 1. vo 클래스 (스네이크 케이스로 사용 중) @Get.. Programming/Spring 2022. 5. 2. 개발자가 꾸준히 학습 해야 하는 이유 서론 해당 강의의 내용이 많지 않을 뿐더러 핵심 키워드만 정리를 하다보니 이번 포스팅은 다소 내용이 짧습니다. 주요 내용만 알아봅시다. 내용 SW는 계속 변한다. 우리가 다뤄야하는 소프트웨어는 늘 새로운 것이 나오고 계속 해서 진화한다. 새로운 소프트웨어가 나오는것뿐만 아니라 이전에 이미 나와있던 SW가 변화하고 진화할 수 도 있다. 예를들어, 객체지향의 OOP 개념도 무려 1966년도에 처음 나왔다고 한다. 지금도 기본적으로 프로젝트를 설계할 때 OOP의 기본 원칙을 지향하여 설계를 하게된다. 1966년도에 나왔던 OOP의 원론적인 내용을 가지고 지금도 변화해나가며 사용하고있다. 이렇듯 우리는 계속 학습해나가지 않는다면 시대의 변화에 따라가지 못하여 도태될 수 있다. 시간 VS 실력 이 질문에 대해 좋.. Self-Development/Lecture Review 2022. 5. 2. 2022년 정보 처리 기사 실기 - 모의고사 문제 및 오답 노트 정리 3 #043 - 메타데이터 더보기 자료의 속성 등을 설명하는 데이터를 말한다. (데이터의 데이터라고 부른다.) #044 - 블랙박스 테스트 더보기 프로그램 내부 논리 구조를 참조하지 않고 요구사항 등을 이용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개발하여 테스트 하는 방법을 말한다. #045 - LOC (Lines Of Code) 더보기 코드 라인수의 낙관치, 중간치, 비관치를 측정하여 예측치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비용을 산정하는 방법을말한다, #046 - CBD 더보기 기존의 SW를 구성하고 있는 컴포넌트를 조립해서 하나의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SW 개발 방법론을 말한다. #047.1 - 피그(Pig) [빅데이터 가공 기술] 더보기 하둡을 이용하여 맵리듀스를 사용하기 위한 높은 수준의 스크립트 언어인 피그 라틴이라.. Self-Development/Study 2022. 5. 2. 우리는 왜 성장해야하나 ? 서론 [패스트캠퍼스] 더 레드 - 백발의 개발자를 꿈꾸며 : 코드리뷰, 레거시와 TDD(백명석, 최범균)의 강의를 듣고 좋았던 부분들과 저의 생각을 정리해보려합니다. 해당 "왜 성장해야하나"의 강의는 11번가 백명석님이 진행하였습니다. 내용 오늘을 어제처럼 살아도 우린 살아갈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어제는 누군가에겐 한없이 바쁘게, 열심히 살았던 어제를 말할 수도 있겠지만 여기서는 어제의 역량이 오늘의 역량과 같더라도 우리가 먹고 살기엔 지장이 없을 것이란 말로 이해하면 더 와닿을 것 같다. 실제로 필자는 이말에 굉장히 공감한다. 그 이유는 한때 주어진 일만하고 꼬박꼬박 들어오는 월급으로 놀기에 급급했던 시기가 있었기때문에 더 공감이 된 것 같다. 근데 이렇게 현재 삶에 만족하며 더 이상의 발전 없이 .. Self-Development/Lecture Review 2022. 5. 1. 2022년 정보 처리 기사 실기 - 모의고사 문제 및 오답 노트 정리 2 이전 1번글을 이어서 작성하는 포스트입니다. 참고바랍니다. #024.1 - 거리 벡터 알고리즘 (라우팅 알고리즘) 더보기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산출하기 위한 법칙이다. 1. 인접 라우터와 정보를 공유하여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결정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알고리즘 2. 벨만-포드 알고리즘 사용 3. 라우팅 프로토콜 RIP, IGRP 4. 최대 15개의 홉 카운트 제한 #024.2 - 링크 상태 알고리즘 (라우팅 알고리즘) 더보기 링크 상태 정보를 모든 라우터에 전달하여 최단 경로 트리를 구성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알고리즘 1.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사용 2. 라우팅 프로토콜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IS-IS 3. 홉 카운트 무제한 #025.1 - 콘텐츠 제공자 (디지털.. Self-Development/Study 2022. 4. 29. 2022년 정보 처리 기사 실기 - 모의고사 문제 및 오답 노트 정리 1 #001 -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더보기 가장 선진화된 서비스의 분할된 애플리케이션 조각들을 Loosely-coupled하게 연결하여 하나의 완성된 Application을 구현하기 위한 아키텍처 #002.1 - 피코넷 더보기 피코넷 : 여러 개의 독립된 통신 장치가 블루투스 기술이나 UWB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망을 형성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 #002.2 - 지그비 더보기 지그비 : 저속 전송 속도를 갖는 홈오토메이션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표준 기술 #003 - (TCP) 세션 하이재킹 더보기 케빈 미트닉이 사용했던 공격 방법의 하나로, TCP의 세션 관리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 기법이다. 세션 하이재킹에 대응을 위해서는 비동기화 상태 탐지, ACK 패킷 비율 모니터링, 특정 세션에서 패킷 유실.. Self-Development/Study 2022. 4. 29. [Spring Boot] Error : To display the conditions report re-run your application with 'debug' enabled. 서론 서버 Run 시켰을 때 나오는 에러이다.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에러 문구 To display the conditions report re-run your application with 'debug' enabled [에러 전문 보기] 더보기 Error starting ApplicationContext. To display the conditions report re-run your application with 'debug' enabled. ERROR 22-04-28 09:12:58[restartedMain] [SpringApplication:843] - Application run failed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Document/Spring 2022. 4. 28. [Spring Boot] 프로젝트 추가 후 Lombok 에러 해결 방법 (final, build 등) 서론 java, sts 환경설정 후 git에 있는 프로젝트를 import하였는데 다수의 파일 소스에서 아래와 같이 초기화되지 못했다는 에러가 발생했다. 필자는 해결을 위해 pom.xml도 update도 다시 하고 이것저것 많이 해봤지만 해결되지 않았다. 이 문제는 아래의 방법처럼 해결할 수 있다. 에러 문구 Error: The blank final field 'usersService' may not have been initialized 해결 방법 순서-1 pom.xml에 위와 같이 lombok이 추가되어있는지 확인한다. 순서-2 c드라이브에서 lombok을 검색하면 lombok-1.18.20 (버전은 다를 수 있음)의 폴더 경로로 들어가서 해당 lombok-1.18.20.jar 파일을 실행하면 아래와 .. Error Document/Spring 2022. 4. 28. [Vue] lodash를 이용하여 중복 값을 제거하는 방법 (_uniqBy, _unionBy) 서론 보통 백단에서 중복제거를 하고 화면에서는 해당 값을 받아서 처리하는경우가 많은데, 백단 수정이 불가한 api에서 중복 값을 받게 되었을 때 쉽게 중복을 제거할 수 있는 lodash의 기법을 알아보려한다. 이번글에서는 lodash의 개념보단 vue에서 lodash를 사용하여 중복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정리한다. npm lodash 설치 방법 npm i lodash 터미널에서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lodash를 설치하면 끝이다. _uniqBy 위는 lodash 홈페이지에서 가져온 이미지이다. 파라미터 형식은 다음과 같다. _uniqBy(Array, '반환할 속성의 고유 이름')으로 되어있다. 속성의 이름은 본인이 설정하면 된다. _uniqBy 기능 1. 배열 데이터 안의 값에서 중복되는 값들을 제거.. Programming/Vue 2022. 4. 27.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1 다음 💲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