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06 C# 접근 제어자 Internal란? (총 정리) Internal라는 키워드는 형식 멤버에 대한 액세스 한정자입니다. 이제 이것을 설명하기 전에 앞서 설명에 필요한 단어들을 정리 해보겟습니다. 1. 모듈(Module) 컴퓨터 용어에서 모듈은 "컴파일이 완료된 바이너리"를 말하는것이며, 이것을 다르게 말하면 라이브러리를 말하는 것입니다. 이 라이브러리는 여러 가지의 타입 및 함수들을 모아둔 집합을 말합니다. 2. 어셈블리(Assembly) 어셈블리란 .NET 기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배포, 버전 제어, 재사용 등 프로그램의 기본 단위입니다. 예로는 실행 파일(.exe) 또는 동적 연결 라이브러리(.dll)파일과 같은 .NET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요소라고 보시면 됩니다. .Net에서는 소스 코드 파일 1개 이상에서 어셈블리를 빌드 할 수 있으며, .Net .. Programming/C# 2021. 11. 10. C# 프로퍼티(Property)란? (사용하는 이유 / Java get set) 서론 C#의 프로퍼티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java에서의 getter, setter 라고 보면된다. 우선 글을 작성하기 앞서 이 주제에 대한 글을 작성한 이유는 멤버변수 선언을 해놓는것과 프로퍼티(get,set)로 속성을 부여해주는 차이가 무엇일까? 라는 생각으로 내용을 정리하게됐다. 이제 이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다. 우리는 java와 c#과 같은 객체 지향언어를 사용할 때면 정보 은닉화에 대해서 항상 염두 해야한다. 만약 염두하지 않는다면 외부 클래스를 상속 받고 객체를 참조하는 부분에 있어 문제가 생길 경우가 빈번하다. 그래서 접근제한자에서의 private를 사용할 경우 getter와 setter의 메소드를 구현 해야 한다. ===get, set 접근자=== get : 읽기 전용 set : 쓰기 전.. Programming/C# 2021. 11. 5. 10박 11일간의 치료 센터 탈출 이야기 -2 2부 시작~~!! 룰루 자 이제 정말 기다리던 퇴소날이 다가왔다. 나는 지옥 그 이상인 이 치료센터에서 나가는 과정을 하나씩 담고싶었다. 나 은근 블로거 체질인가? 정말로 그 와중에 퇴소 방송이랑 아침 검사하라는 방송 멘트도 알람 맞춰놓고 미리 일어나서 카카오톡 음성메세지로 남겨놨음 ㅋㅋㅋㅋㅋ 기특하다 나 음성메세지도 여기 올릴 수 있다면 올렸을텐데 못올려서 아쉽다 그치만 퇴소 전날부터 찍은 나의 주접 사진 몇장들을 올려보겠다 1. 퇴소 안내문 나 정말 이 퇴소 안내문 받고 눈물을 훔쳤다 또르륵 내 인생 유인물 받고 눈물을 훔친적이 있던가 2. 숙소에 배치된 검사 장비들 위의 장비들은 오전 7시, 오후 4시 이렇게 하루 두번 검사를 할 때 사용되는 장비들이다. 검사 결과를 치료센터 어플에 등록하여 의료진.. Daily/Covid-19 일기 2021. 11. 4. 10박 11일간의 치료 센터 탈출 이야기 -1 후.. 10박11일의 정말 지옥같은 생활이 드디어 끝났다. 어제 퇴소를 했고 하루가 지났다. 나의 현재 상황은 회사와 집에 가족들이 있기때문에 치료센터에서 나오자마자 다시 검사를 받아봤다. 앞으로 3개월간은 죽은 바이러스가 체내에 남아있어 양성이 나온다고 알고는 있었다. 그래도 음성이 나올때까지는 안심할 수 없어 주기적으로 받을 생각으로 받은거였는데.. 왠걸 오늘 아침 양성 전화가 왔고, 바이러스 수치가 기준치보다 높게 나와서 다시 오늘 재 검사를 받아보라고한다. 이럴거면 퇴소전에 검사를 한번 더 해보고 내보내지 난 정말 현재 이 시스템이 이해가 안간다. 자의로 검사를 받지않았으면 치료센터의 말대로라면 대중교통 및 회사 출근과 정상생활을 하고 살았을 것 이다. 내일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는 모르겠지만 만약.. Daily/Covid-19 일기 2021. 11. 3. Covid-19 기록 3일차 3일차이다.. 오늘은 월요일이다. 여기 치료센터에 갇혀있지만 내 업무 특성상 노트북으로 업무를 보기때문에 노트북만 있다면 모든 업무를 볼 수 있다. 하지만 내 개인 노트북만 가져온 상태이므로 회사에서 노트북을 보내줄때까지는 업무에 제한이 있다. 그래서 회사에서 퀵으로 보내준다고 하더라 ㅎㅎ 지금 아직 노트북 배송이 안와서 여유가 있어서 그렇지 만약 업무 시작하면 계속 일기를 쓸 수 있을지 모르겠다.. ㅎㅎ 일단 쓸 수 있을 때 까지는 써보고싶다. 3일차 아침 밥은 찾아보니 안찍은듯 대신 2일차 저녁 밥 사진으로 올림 전복도 이런거 보면 참 신경 많이 써주셔서 감사하긴한데, 정말 맛이 하나도 안나서 미치겠다. 나 새우 저런거 엄청 좋아하는데 맛 느끼고싶어서 진짜 먹을때마다 코 풀고 먹고 풀고 먹고 해봣음ㅠ.. Daily/Covid-19 일기 2021. 10. 29. Covid-19 기록 2일차 이제 2일차다. 여기의 검사 관리 방식은 오전7시 오후 4시 이렇게 하루 두번 체온, 혈압 및 심박수 측정, 산소포화도 측정 이렇게 세개의 검사를 하고 어플에 등록하는 방식이다. 이런식으로 어플에다가 기입을 하면 해당 의사나 간호사 분들이 확인하고 이상이 있으면 숙소로 바로 연락을 주신다. 나는 2일차 아침 7시에 열이 38.1도가 났었다ㅠㅠ 그래서 주의대상이 됐었고 따로 x-ray촬영도 다시하고 열도 수시로 측정하라고 의사분한테 따로 전화도 왔다. 그래도 여기서 주는 약 먹고 잠도 충분히 자고 하니 열은 금방 조금씩 내려갔고, 37도로 떨어졌다. 그리고 이제 처음으로 맞이한 숙소 아침 뷰이다. 알고보니 오션뷰였다. 바다도 보이고 오전 7시에 일어나야하니 일출과 함께 일어나야했다. 그래서 해도 본다. 담.. Daily/Covid-19 일기 2021. 10. 25. Covid-19 기록 1일차 나는 10월 23일(토요일) 양성 확진 전화를 받았다.. 앞으로 두번다시 겪어선 안되는 일이기도하고, 앞으로 이렇게 병으로 격리조치를 당해볼일이 있을까 해서 블로그에 기록해보고자 한다. 우선 이 글을 써야겠다라고 마음 먹은 시점은 3일차(25일)이다. 그래서 기억나는대로 1일차에 대해 작성해보겠다. 우선 1일차를 말하기전에 앞서, 이전 증상에 대해 말해보겠다. 나는 21일(목요일)에 회사에서 한 오전 11시쯤? 부터 기운이 쭉쭉 빠져나가는 기분이 들었다. 어디가 아프다기보단 정신이 몽롱하고 정말 누가 내 기운을 쭉 다 빨아간 기분이였다.. 그리고 오후 4시 넘어서부터는 살짝 두통?이 있는거 같고 뭔가 내가 이상이 생겼구나란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퇴근 후 빠르게 집으로 향하였다. 가는길에 약국에 들려 증.. Daily/Covid-19 일기 2021. 10. 25. C# Thread.Sleep() vs Task.Delay() 함수의 차이 나는 여지껏 주기적인 실행 텀을 구현할때면 Thread.Sleep() 함수를 사용해왔다. 아무래도 프로세스 실행에 있어 지정한 시간만큼 지연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프로세스 진행에 영향을 끼치지않을까하는 생각이 문뜩 나서 찾아보니, Task.Delay라는 비동기 함수가 있었다. 우선 기능에 대해서부터 말해보자면 - Thread.Sleep()함수는 동기함수이며, 해당 지정한 ms만큼동안 스레드를 차단하는 함수이다. (blocking) 그래서 비동기 코드에서 해당 함수를 사용하는건 매우 절제해야하는 소스중 하나라고도한다. 이에 반면, Task.Delay()함수는 비동기함수이며, 현재 스레드를 차단하지 않고 논리적 지연을 원할 때 사용하는 함수이다. (non-blocking) 따라서 해당 프로세스가 동기적으로 .. Programming/C# 2021. 10. 18. C# 소수값 구하기 소수 구하는 로직 정리 1은 소수값이 아니므로 2부터 시작을하며, 입력된 숫자의 값보다 작은 수들로 몫을 구했을 때 0이 나오면 소수가 아니다. 예를 들어, input : 7을 처리한다하면 7%2!=0, 7%3!=0, 7%4=0, 7%5!=0, 7%6!=0을 먼저 해보고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수에서 해당 숫자들에 대해 다시 for문을 돌며 해당 숫자들 중 소수값을 찾는다. 찾는 과정 중에서 for문 조건식에서 2로 나눈 이유는, 4이상의 수 중에서 자신의 절반 값까지는 어떤 수로 나누어도 떨어지지 않는 수이기때문에 반복횟수를 줄이기 위해 2로 나누었다. 2로 나누지않고 for(int i=2; i< n; i++)로 해도된다. =====소스=====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 Programming/C# 2021. 10. 12. 백준 JAVA 1436번 - 영화감독 숌 방식 순서 1. 시작을 666부터 시작하여 val의 변수에 666을 넣어준다. 2. while문을 이용하여 입력부분의 값이 카운트와 다르다면 계속 실행하도록 해준다. 3. 666을 포함하고 있지않다면 val의 값을 1씩 더해준다. 4. 입력부분의 값이 카운트와 같아진다면 break 5. 더해진 val값 출력. 문제 풀고 느낀점 : 해당 문제를 5일동안 풀었다... 처음엔 c#으로 풀다가 이제 java로 문제를 풀려고 공부하면서 풀다보니 시간이 더 걸린감도 있지만, 애초에 문제 접근방식부터 풀이까지 모두 엉망이였다. 뻔히 브루트 포스라는 단계로 들어가서 푼거면서 정작 브루트 포스 알고리즘이 뭔지 알지도 않고 그냥 규칙만 찾아보겠다고 풀었다. 너무 한심했고 앞으로는 알고리즘 테마 별로 먼저 정의와 내용을 알.. Algorithm/Problem Solving 2021. 10. 3. 이전 1 ··· 17 18 19 20 21 다음 💲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