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05 Spring Boot jUnit Test : JPA metamodel must not be empty! 에러 해결 방법 서론 Controller 테스트코드 작성 중 다음과 같은 에러를 만났다. 해당 에러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원인과 해결방법 2가지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에러 발생 원인 Controller에 관련된 @MockBean 처리는 다 해준 것 같았는데 참 이상했다. 찾아보니 원인은 JPA를 사용하며 공통 & 자동으로 관리해주는 Auditing 클래스를 만들어놓았는데 이것을 @SpringBootApplication에 등록해놓은 것이 문제였다. Spring 컨테이너를 요구하는 테스트는 가장 기본이되는 --Application 클래스가 항상 로드되는데, @EnableJpaAuditing이 해당 클래스에 등록되어 있어 모든 테스트들이 항상 JPA 관련 Bean들을 필요로 하는 것이였다. 물론, @SprignBoot.. Error Document/Spring 2022. 7. 18. [Java] 코딩테스트 자주 사용하는 문법 정리 서론 Java로 알고리즘 문제를 풀 때 자주 사용하게 되는 문법들을 정리하려합니다. 계속해서 추가 예정입니다. 형 변환 Char To Int char myChar = '3'; int myInt = Character.getNumericValue(myChar); System.out.println(myInt); //결과: 3 String To Char String myString = "apple"; char[] myChars = myString.toCharArray(); for (int i=0; i 배열 요소 모두 더하기 int arr[] = new int[] {12,34,45,21,33,4}; int sum = Arrays.stream(arr).sum(); System.out.println("Array Su.. Programming/Java 2022. 7. 15. [Java] 탐욕 알고리즘이란? (개념/ 코드 예제/ 알고리즘 한계) 탐욕 알고리즘(Greedy Algorithm)이란? 최적의 해에 가까운 값을 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알고리즘이다. 가장 큰 특징은 여러 경우 중 하나를 결정해야할 때마다, 매 순간 최적이라고 생각되는 경우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여 최종적인 값을 구하는 방식을 말한다. 특징 자체가 구현 방식을 말하는 것이기에 예제를 통해 바로 알아보겠다. 예제1) 동전 문제 Q1. 지불해야 하는 값이 4720일 때, 1원, 50원, 100원, 500원 동전으로 동전의 수가 가장 적게 지불하게끔 구현해보아라. Java 코드 구현 public class GreedyCo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4720을 500,100, 50, 10 동전으로 최소한의 개수 구하기 A.. Algorithm/Concept 2022. 7. 15. [Java] 너비 우선 탐색(BFS), 깊이 우선 탐색(DFS)이란? (개념 /코드 예제) 서론 이번엔 대표적인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인 너비우선탐색과 깊이 우선 탐색에 대해 알아보려합니다. 보통 BFS, DFS라 불리며, 굉장히 많이 쓰이는 탐색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너비 우선 탐색(Breadth First Search)이란? 정점들과 같은 레벨에 있는 노드들을 먼저 탐색하는 방식을 말한다. 깊이 우선 탐색(Depth First Search)이란? 정점의 자식들을 먼저 탐색한느 방식을 말한다. 너비 우선 탐색 구현 그래프에서 보통 각 덩어리를 노드, 이어진 선을 간선 또는 엣지라 칭한다. BFS 방식에서 노드들의 간선 흐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구현 방식 탐색 순서 (위 이미지 참고) A - B - C - D - G - H - I - E - F - J 한 단계 씩 내려가면서, 해.. Algorithm/Concept 2022. 7. 14. [Git] The requested URL returned error: 403 Push 에러 해결 방법 서론 필자가 저 에러를 뱉기까지의 상황은 다음과 같다. 권한(Admin)을 부여받은 공용 repository를 fork한 후 작업 후 push하니까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이 403에러는 github을 사용하기 위해 셋팅을 한 후 필자와 같이 push를 할 때 해당 주소에 접근 권한이 없어서 자주 발생하는 에러라고 한다. 이제 이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에러 내용 The requested URL returned error: 403 Pushing to ... 에러 전문 보기 더보기 git -c diff.mnemonicprefix=false -c core.quotepath=false --no-optional-locks push -v --tags origin main:main remote: .. Git 2022. 7. 14. [Java] 순차 탐색, 이진 탐색의 개념과 예제 서론 이번 포스팅에선 순차 탐색과 이진 탐색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간단히 Java로 구현해볼 예정입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순차 탐색(Sequential Search)이란? 탐색은 여러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아내는 것을 의미한다. 순차 탐색은 데이터가 담겨있는 배열을 맨 앞부터 하나씩 비교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방법을 말한다. 순차 탐색 구현 public class SequentialSearch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rrayList list = new ArrayList(); for(int i=0; i 중간 값) [True] 뒷 부분의 서브 리스트에서 검색할 숫자를 찾는다. if(검색할 숫자 < 중간 값) [True] 앞 부분의 .. Algorithm/Concept 2022. 7. 13. [Java] 고급 정렬 - 퀵 정렬이란? (개념 / 예제 / 알고리즘 분석) 서론 이전 병합 정렬에 이어 고급 정렬에 속한 퀵 정렬, 흔히 정렬 알고리즘의 꽃이라 불리는 이 포스팅을 마지막으로 정렬 알고리즘에 대해 마무리하려합니다.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퀵 정렬(Quick Sort)이란? 분할 정복 알고리즘 중 하나인 고급 정렬 알고리즘이며, 평균적으로 매우 빠른 수행 속도를 갖고 있는 정렬 방법을 말한다. 퀵 정렬의 구현 방식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구현 방식 기준점(Pivot)을 정해서, 기준점보다 작은 데이터는 왼쪽(left), 큰 데이터는 오른쪽(right)으로 모으는 함수를 작성한다. 각 왼쪽(left)과 오른쪽(right) 배열은 재귀용법을 사용하여 다시 동일 함수를 호출하여 위 작업을 반복한다. 함수는 왼쪽(left) + 기준점(pivot) + 오른쪽(right)을.. Algorithm/Concept 2022. 7. 13. [Java] 고급 정렬 - 병합 정렬이란? (개념/ 예제/ 총 정리) 서론 이번 글에서는 고급 정렬 알고리즘에 속한 병합 정렬을 예제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병합 정렬(Merge Sort)이란? 병합 정렬은 재귀 용법을 활용한 정렬 알고리즘을 말한다. 구현 방식은 다음과 같다. 구현 방식 (위 이미지 참고) 리스트를 절반으로 잘라 비슷한 크기의 두 개의 리스트로 나눈다. 각 리스트를 재귀적으로 합병 정렬을 이용하여 정렬한다. 두 리스트를 다시 하나의 정렬된 리스트로 병합한다. 위와 같이 방식을 3 Step으로 나누어 구현할 수 있다. 이 방식을 토대로 아래의 예제 문제를 풀어보자. 예제 구현 방식에서 1번 항목인 하나의 리스트를 두 개의 리스트로 나누는 것부터 구현을 해보면 다음과 같이 짜볼 수 있다. 두 개의 리스트로 나눠보기 public class Split {.. Algorithm/Concept 2022. 7. 12. [Java] 동적 계획법과 분할 정복이란? (개념/ 공통점/ 차이점/ 예제) 서론 알고리즘 공부를 하면 안들어 볼 수 없는 동적 계획법(Dynamic Programming)과 분할 정복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려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두 개념 중 동적 계획법에 초점을 더 맞추어 작성할 예정이고 이 후 고급 정렬 알고리즘 공부를 할 때 분할 정복에 대해 다시 한번 작성해볼 예정입니다. 동적 계획법(Dynamic Programming)이란? 보통 DP라고 불리는 이 동적 계획법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입력 크기가 작은 부분 문제들을 해결한 후 해당 부분 문제의 해를 활용하여, 보다 큰 크기의 부분 문제를 해결하고 최종적으로 전체 문제를 해결하는 알고리즘 특징 상향식 접근법으로 가장 최하위 해답을 구한 후, 이를 저정하고 해당 결과값을 이요해서 상위 문제를 풀어가는 방식을 말한.. Algorithm/Concept 2022. 7. 12. [Java] 백준 1, 2, 3 더하기 - 9095번 (재귀 용법 사용 / 풀이 방식) 서론 해당 문제는 DP로 분류되어있지만 재귀용법에 대한 학습을 위해 재귀 함수를 사용하여 풀이하였습니다. 문제 문제 풀이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um = sc.nextInt(); for(int i = 0; i< num; i ++){ int N = sc.nextInt(); System.out.println(recursion(N)); } } private static int recursion(int n){ if(n == 1) { return 1; }else if(n == 2){ return 2; }else.. Algorithm/Problem Solving 2022. 7. 11. 이전 1 2 3 4 5 6 7 8 ··· 21 다음 💲 많이 본 글